본문 바로가기
부자들의 정책노트

국민연금 수령액 모의 계산기 사용법 & 실전 예시 완전 정리

by 부자일지 2025. 3. 23.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하는 대표적인 공적 노후소득 보장제도입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내가 낸 돈보다 적게 받을 거다', '언젠간 고갈될 것이다' 같은 오해가 많고, 실제로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본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단순한 공식이 아니라 여러 조건과 전략에 따라 달라지므로, 계산기를 활용한 사전 시뮬레이션이 필수입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모의 계산기 사용법 & 실전 예시 완전 정리

 

1.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될까?

국민연금 수령액은 총 납부 기간, 평균 소득, 소득대체율, 연금 개시 연령, 연기/조기 수령 여부, 크레딧 제도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계산됩니다.

  • 가입기간: 연금 수령을 위한 최소 요건은 10년이며, 20년 이상이면 급격히 수령액이 증가합니다.
  • 평균소득월액: 본인의 전체 가입 기간 중 소득의 평균입니다.
  • A값: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2024년 약 283만원)과의 비교 기준
  • 소득대체율: 현재 약 40%, 과거 70%에서 점점 낮아진 수치
  • 연기 수령: 수령 시점을 최대 5년 연기하면 매년 7.2% 인상되어 최대 36%까지 수령액 상승
  • 추납 제도: 과거 납부 예외기간을 복구 가능
  • 크레딧 인정: 군 복무, 출산, 실업 등으로 인한 비납부 기간을 인정

2. 계산기 사용법

공식 계산기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없이 가상의 입력값으로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고,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면 실제 납부 내역 기반의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합니다.

 

3. 수령액 공식

공식: A값 × 소득대체율 × (가입기간 ÷ 40) + 일정 정액

예시: A값 = 283만원, 소득대체율 = 40%, 가입기간 = 30년 → 약 90만원 수령 예상

4. 실전 예시

  • A씨: 35세 직장인. 25세부터 납부 시작, 35년 납부 예상, 월 평균소득 320만원 
  • B씨: 52세 자영업자. 현재 12년, 추납 5년, 임의계속가입 11년 포함 총 28년 
  • C씨: 46세 경력단절 후 재취업. 납입 15년, 재가입 후 10년 추가 시 총 25년
사례 가입기간 평균소득 예상 수령액 전략
A씨 (35세 직장인) 35년 320만원 약 98만원 연기수령 고려 (최대 114만원)
B씨 (52세 자영업) 28년 (추납 포함) 200만원 약 71만원 추납 + 임의계속가입
C씨 (46세 재취업) 25년 290만원 약 79만원 재가입 + 추납 고려

5. 수령액 늘리는 전략 요약

  • 임의계속가입 제도: 60세 이후에도 65세까지 연장 납부 가능
  • 연기연금 제도: 수령을 5년 연기하면 최대 36% 인상 가능
  • 추납제도 활용: 과거 납부예외 기간 복구로 가입기간 확장
  • 가입기간 최소 20년, 목표는 30~40년 이상 확보가 유리

6. 국민연금 vs 퇴직연금 vs 개인연금

국민연금은 ‘공적연금’으로 1층에 해당하며, 퇴직연금(2층), 개인연금(3층)과 함께 3층 보장체계를 구성합니다. 국민연금 하나만으로는 노후 생활비 전체를 충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사적연금의 보완이 필요합니다.

7. 오해와 진실

  • Q. 고갈되면 못 받는 거 아닌가요?
    → 지급보장이 법제화됨. 세금 등으로 보전될 수 있음
  • Q. 낸 돈보다 적게 받는다?
    → 수익률 6~8%로 실질 이득이 더 큼
  • Q. 물가가 오르면 연금은 그대로인가요?
    → 매년 일정 수준의 인상률이 반영됨
  • Q. 부부 연금은 합산되나요?
    → 각각 수령, 유족연금은 일부 제한 있음

8. 요약 정리

  • 국민연금 수령액은 단순 납부 총액이 아닌 전략적 제도 활용 여부에 따라 결정
  • 공단 계산기를 적극 활용해 예상 수령액을 확인
  • 추납, 연기, 임의계속가입 등 제도를 종합적으로 설계
  • 노후보장을 위해 퇴직연금, 개인연금과 함께 3층 구조를 고려